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docker
- geopandas
- STL
- 3d데이터
- GNN
- 좌표거리
- 귀여운고래
- 파이썬
- 지하철역좌표
- 폴더조사
- geojson
- 이미지빌드
- GCN
- 컨테이너
- 3d
- MESH
- graph
- 패치분할
- osmnx
- Python
- 도커 레이어
- 그리드분할
- 동명이인찾기
- Set
- 도커
- python최단거리
- 알고리즘
- pyvista
- 데이터입수
- GIS
Archives
- Today
- Total
이것저것 기록
[python] 람다(lamda) 함수 (익명함수) 본문

1. 람다함수란?
람다식, 람다함수, 익명함수, 이름없는함수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람다함수는 일시적으로 쓰고 버리는 함수다.
보통 간단한 기능을 필요한 곳에서 즉시 사용하고 버리는 식으로 람다함수를 쓴다.
2. 람다함수의 표현
lambda 인자리스트: 표현식 의 형태로 사용한다.

k라고 정의해준 람다식에 2을 넣어주었기 때문에 2 + 2가 계산되어 4가 출력됨을 알 수 있다.
3. map( ) 함수
파이썬 리스트 여러 개의 원소에 람다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되는 함수다.
map( )은 반복 가능한 객체를 여러 개 넣을 수 있다.
주로 리스트의 요소에 함수를 적용시켜서 새로운 결과를 리턴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변수 = map(함수, 리스트) 의 형태로 사용한다.

a와 b 리스트에 있는 원소를 각각 하나씩 불러온 뒤 곱해준 값을 새로운 리스트에 할당하여 출력했다.
4. filter( ) 함수
filter( )은 리스트의 요소에 함수를 적용시켜서 원하는 요소만 리턴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변수 = filter(함수, 리스트) 의 형태로 사용한다.

'코린이 > 코딩 기초 & 알고리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argparse 사용하기 (0) | 2020.10.26 |
---|---|
[python] 조건부 표현식, 리스트 표현식, 축약 (0) | 2020.10.26 |
[python] shutil 모듈로 파일 복사 및 이동하기 (0) | 2020.10.19 |
[python] datetime 모듈로 시간 처리 및 계산하기 (0) | 2020.10.17 |
[python] 딕셔너리(dict) 기초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