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3d데이터
- 도커
- osmnx
- GNN
- 그리드분할
- pyvista
- 이미지빌드
- STL
- 컨테이너
- 파이썬
- 알고리즘
- Python
- 지하철역좌표
- 좌표거리
- python최단거리
- 폴더조사
- 데이터입수
- 패치분할
- geopandas
- MESH
- docker
- GCN
- graph
- 3d
- geojson
- GIS
- Set
- 동명이인찾기
- 도커 레이어
- 귀여운고래
- Today
- Total
목록Data Science/New Tech (7)
이것저것 기록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순서 1.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작성 (.sol) pragma solidity ^0.8.0; // solcjs --version 로 버전확인 contract hello { string value; constructor(){ value = "hello solidity"; } // 파일에 저장된 내용을 가져올 것인지? storage //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가져올 것인지? memory function get() public view returns(string memory){ return value; } //solcjs --bin --abi .\hello.sol // 파일명_확장자_컨트랙트명 } hello_sol.sol로 저장해준다 2.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컴파일 해당 컨트랙트가 위..
0. 도커 환경에서 볼륨이란? 도커는 기본적으로 각 컨테이너마다 독자적인 저장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컨테이너가 삭제되었을 경우 함께 사라진다. 예를 들어 내가 '딥러닝 모델 학습'을 위한 도커 컨테이너를 만들었다고 생각해보자. 만약 내가 해당 컨테이너를 삭제하면, 학습된 모델 파라미터와 아웃풋이 모두 함께 삭제되는 것이다... 때문에 컨테이너 내부에 중요한 데이터를 두는 것은 그닥 안전한 방법은 아니다. >> 이러한 이슈 때문에 도커는 데이터의 영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지원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도커 볼륨이다. 1. 볼륨의 종류 위 그림은 볼륨의 세 가지 종류를 나타낸다. Bind Mount: 호스트 환경의 특정 경로를 컨테이너 내부 볼륨 경로와..
도커도커~~ 이제 어느정도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 도커의 동작 방법 등 도커에 대한 개념이 잡힌 것 같다. 그렇다면 이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해보자. 큰 맥락에서의 이미지 빌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파이썬 스크립트 작성 아무 편집기나 켜서 파이썬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나는 spyder를 켜서 딱 다음 한 줄을 작성해주고 test.py로 저장했다. print("Hello World!") 이미지 빌드 시, Dockerfile과 파이썬 스크립트만 따로 독립된 폴더에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나는 바탕화면에 hello-demo라는 폴더를 만들고, 위 스크립트를 넣어줬다. 2. Dockerfile 작성 이미지 빌드를 위해선 Dockerfile을 작성해야한다. Dockerfile을 통해 내가 원하는 내용..
0. 도커 컨테이너와 관련된 명령어 도커의 컨테이너는 명령어에 따라 상태가 변한다. 보통은 docker run을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함과 동시에 시작한다. 상태 명령 설명 생성 docker create 생성만 한다 생성 + 시작 docker run 생성하고 시작 시작 docker start 시작 정지 docker stop 실행 중인 컨테이너 정지 삭제 docker rm 컨테이너 삭제 1. 도커 컨테이너 구조 도커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레이어와 이미지 레이어로 이루어진다. 컨테이너 레이어: 쓰기 가능한 Writable Layer로 각 컨테이너의 최상단 레이어에 생성된다. 이미지 레이어: Read-only Layer로, 다른 컨테이너와 공유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왼쪽 사진은 컨테이너의 구조이다..
0. 도커 컨테이너란? 도커 이미지와 연결지어 정의한다면, 도커 컨테이너는 이미지가 실행된 형태이다. 도커 이미지를 running하면 그 이미지를 동작시킨 컨테이너가 생성되는 것. 즉, 이미지로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다. 1. 컨테이너의 격리 환경 동작 원리 도커의 컨테이너 기술은 리눅스의 컨테이너 (LXC)를 활용한 기술로, 컴퓨터에 독립적인 컴퓨팅 공간을 만들어낸다. 이는 기존의 VM (가상머신)과 비교하여 가상환경 구조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좌측의 VM은 환경 자체 (OS)를 가상화 해버리는 반면, 도커 컨테이너는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며 단순히 하나의 격리되어 있는 프로세스로써 동작한다. 그렇다면 동일한 OS 환경에서 어떻게 다수의 프로세스가 커널을 공유함과..